운동 시 흔들려서 불안하거나 균형을 잘 못 잡는 순간들이 많습니다.
우리 몸의 균형조절과 안정성은 운동할 때 꼭 필요한 능력 들입니다.
균형과 안정성에 대한 개념을 한번씩 보고 가시겠습니다.
균형과 평형의 개념

균형과 평형은 일상생활에 있어 동작수행에 중요한 영향을 주고, 신체에 대한 안정적 상태를 유지시키는 능력
균형은 신체 활동에 있어 아주 중요한 요소입니다. 우리가 사는 지구는 중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중력에 대항하는 힘이 없다면 균형과 평형을 유지하기가 힘들텐데요 균형과 평형은 조금 다른 개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균형은 물체가 움직이지 않는 상태를 말합니다. 만약 물체에 작용하는 힘이 모두 상쇄되어서, 물체의 위치나 상태가 변하지 않는다면 균형상태에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이때, 작용하는 힘은 크기와 방향이 모두 고려되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평면 상에 놓인 물체가 있을 때, 그 물체를 유지하는 힘이 중력과 지지력 등 여러 가지인데, 이들 힘이 상쇄되어 물체가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 있다면 균형상태입니다.
&
평형은 물체가 움직이긴 하지만 균형을 유지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고리에 매달린 물체가 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이 물체는 중력으로 인해 아래로 떨어지려고 하지만, 고리는 물체를 위로 들어 올리려는 힘을 발생시키므로, 물체는 아래로 떨어지지 않으면서도 균형을 유지하며 고리 위에서 매달려 있는 상태입니다. 이러한 상태를 평형상태라고 합니다.
정적 안정성과 동적 안정성
운동수행시 균형과 평형을 잘 유지를 하게 된다면 흔히들 "안정적"이다라고 하실 텐데요.
이러한 안정성도 크게 두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정적 안정성(Static Stability)

정적 안정성(Static stability)은 신체가 일어서 있는 상태에서, 정지한 상태에서, 어떠한 움직임도 없는 상태에서 중심축(center of gravity, COG)이 지지면(base of support, BOS) 안에 위치하도록 유지되는 능력입니다. 이는 중력(gravity)과 지면 반발력(ground reaction force)이 평형을 이루는 상태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선 자세에서 바로 서 있는 경우, 몸의 무게 중심은 바닥으로 향하게 되며, 바닥에서 발생하는 지면 반발력과 중력이 상쇄되어 몸이 균형을 유지합니다. 만약 이때 한 발을 들어 올리거나, 기울이거나, 바닥을 받치는 면적(base of support)을 줄인다면 균형을 잃을 수 있습니다.
정적 안정성은 일상 생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우리가 서 있거나 걷거나 달리거나 등 모든 움직임은 정적 안정성을 기반으로 합니다. 또한, 정적 안정성은 운동 성능 개선이나 균형 재활 등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동적 안정성(dynamic Stability)

동적 안정성은 물체 또는 신체가 움직이는 상황에서 안정을 유지하는 능력을 말합니다. 이는 특히 일상생활에서 매우 중요한 능력으로, 걷거나 달리는 등의 운동을 할 때 안정적으로 움직이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동적 안정성은 여러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 먼저, 신체의 무게중심(COG, Center of Gravity)이 움직임에 따라 이동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무게중심은 물체의 질량 중심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인간의 경우 배와 골반 사이에 위치합니다. 움직이는 동안 무게중심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신체의 근육과 인대, 뼈 등의 구조도 안정성에 영향을 미칩니다. 근육은 움직임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근력과 지구력이 강한 경우 안정성을 유지하기 쉬워집니다. 인대는 관절을 지지하고 안정성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뼈는 신체를 지탱하고 안정성을 유지하는데 기여합니다.
마지막으로, 운동 경험이 동적 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운동을 하면서 신체의 균형 유지에 대한 경험을 쌓으면, 더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됩니다.
오늘은 균형, 평형, 안정성에 대해서 조금 공부해보았습니다.
다음 글에는 신체균형을 조절하는 요인들과 전정기관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건강 운동 정보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 몸의 에너지를 만드는 방법 (무산소성 대사과정) (0) | 2024.09.13 |
---|---|
우리몸은 어떻게 균형을 잡을까? (0) | 2024.09.12 |
근육 불균형 바로 알기 (feat. 주동근과 길항근) (0) | 2024.09.04 |
쇼츠의 도파민에 허우적 거리는 우리 디지털 디톡스가 필요할 때 (0) | 2024.09.02 |
무릎의 모든 것 (feat.스크류홈 메커니즘/Screw Home Mechanism) (0) | 2024.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