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운동 정보이야기

근육 불균형 바로 알기 (feat. 주동근과 길항근)

by mapopeople 2024. 9. 4.
반응형

환자분들이나 회원분들을 운동 지도할 때

“어 내가 생각한 자세는 이게 아닌데? 왜 이렇게 하실까?”

하는 궁금증들이 들 때가 있습니다.

 

바로 근육 불균형에서 오는 “보상작용”때문이죠

많은 선생님들이 먼저 연구해 놓으신 이론들이 많습니다

오늘은 그중에 두 가지 정도만 자세하게 파헤쳐 보겠습니다.


첫 번째. 협력근 우세 현상 (Synergist Dominance)

우리들의 몸은 근육 활동 시 일반적으로 세 가지 그룹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주동근 - 신체의 움직임에서 가장 주도적으로 사용되는 근육

협력근 - 주동근을 도와 보조적으로 사용되는 근육

길항근 - 주동근에 대항하여 수축 속도를 조절해 주는 근육

협력근이 왜 우세하게 될까?

대퇴사두근의 대표적인 강화 운동 스쿼트 입니다.(다들 몇 치시나요?)

우리는 생활 속 나쁜 자세나 예기치 못한 사고로 손상을 입게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들로 대퇴사두근의 충분한 수축력이 생기지 않을 때는 무슨 일이 벌어질까요?

주동근의 역할을 보조해 줄 수 있는 협력근인 비복근이나 대둔근이 더 많은 활동을 하게 될 겁니다.

이렇게 말이죠.

 

근력 약화

 

이러한 패턴으로 운동을 지속적으로 수행한다면 주동근은 점점 약화(Weak)가 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됩니다.

이러한 안 좋은 순환이 계속된다면 협력근은 많은 부하를 감당해야 하고 그 부하들은 통증이라는 결과로 나오게 될 것입니다.

 

열린 사슬운동(Open Kinetic Chain)

닫힌 사슬운동(Closed kinetic Chain)

 

우선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려면 닫힌 사슬운동(CKC)과 열린 사슬운동(OKC)의 개념을 알고 가야 합니다.

우리는 수많은 하체 운동들을 합니다 레그프레스,스쿼트,런지,레그익스텐션...등등

대표적인 대퇴사두근 운동으로서 레그 익스텐션과 스쿼트가 있습니다. 똑같이 대퇴사두근을 주동근으로 쓰는 운동인데 무슨 차이일까요?

 


 

열린 사슬운동(OKC)

  1. 몸의 중심부를 고정하고 먼 쪽을 움직이는 운동
  2. 비교적 신체의 말단 부분이 자유롭다
  3. 주동근의 주도적 사용을 늘릴 수 있다
  4. 체중의 영향 없이 운동을 실시할 수 있고 높은 관절가동범위를 나타낸다
  5. 단관절 운동이다

 

닫힌사슬운동(CKC)

  1. 열린사슬운동과 반대로 먼 쪽을 고정시키고 신체가 움직이는 운동
  2. 운동 시 상호작용을 하는 길항근과 협력근의 사용이 늘어난다
  3. 전단력이 적어 관절의 부상 위험이 적다
  4. 고유수용기(Proprioception)를 자극한다
  5. 다관절 운동이다

 

위에 두 개의 운동방법들을 보고 나눠보자면 이렇게 나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스쿼트 - 닫힌사슬운동(CKC)

레그 익스텐션 - 열린 사슬운동(OKC)

이렇게 약화된 대퇴사두근의 회복을 위해서는 협력근을 많이 사용하는 CKC 운동보다는

OKC 운동을 통해서 충분한 대퇴사두근의 근력을 끌어올리는 게 좋은 방법일 것 같습니다.

 


두 번째. 상호 억제 현상 (Reciprocal Inhibition)

위의 근육 활동에 있어 세 가지 그룹인 주동근, 협력근, 길항근을 알아보았습니다

상호 억제 현상이 뭘까?

상호 억제 현상이란 근육 활동 시 주동근을 대항하는 근육인 길항근이 너무 과하게 주동근의 활동을 방해하는 현상입니다.

우리는 가끔씩 스트레칭 실시할 때 너무나 뻣뻣해져 버린 우리의 근육을 발견하게 됩니다

이렇게 뻣뻣해진 근육들은 문제를 일으키게 됩니다.

근육 활동 시 주동근과 협력근은 단축성 수축(Concentric Contraction)을 하는 반면,

길항근은 주동근에 대항하여 강도와 타이밍에 맞게 신장성 수축(Eccentric contraction)을 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때 과도한 긴장상태인 길항근의 적절한 신장성 수축력이 정상적이지 못하면

주동근의 구심성 수축력 또한 발생되지 못하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을 상호 억제 현상이라고 합니다.


오늘은 근육 불균형에 대한 이론 중 대표적인 두 가지를 알아보았습니다.

이러한 이론지식을 습득하여 더 좋은 운동프로그램들을 많이 적용시켰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